1. 골든 햄스터의 특징과 성격
골든 햄스터(Golden Hamster)는 햄스터 중 가장 인기가 많은 품종입니다. 주로 시리아, 터키, 이란 등에서 서식합니다. 1930년대에 연구 목적으로 처음 포획된 이후 전 세계적으로 반려동물로 보급되었습니다.
골든 햄스터는 중대형 햄스터로 몸길이 약 13~18cm, 몸무게는 100~200g 정도로 성장합니다. 대체로 암컷이 수컷보다 더 큰 편입니다. 몸이 둥글고 털이 풍성한데, 보통 노란빛이 감도는 갈색을 띕니다. 흰색, 크림색, 회색, 검은색, 얼룩무늬, 긴 털 등 다양한 형태를 보입니다.
골든 햄스터는 보통 온순한 성격이며 단독 생활을 좋아합니다. 따라서 사육장에서 여러 마리를 함께 키우면 싸움이 발생할 가능성이 큽니다. 특히, 성체가 되면 강한 영역 본능을 가지므로, 반드시 한 마리씩 개별적으로 사육해야 합니다.
햄스터는 야행성이므로 낮에는 주로 잠을 자고, 밤이 되면 활발하게 활동합니다. 따라서 낮 동안 함부로 깨우면 스트레스를 받을 수 있으므로 조심해야 합니다. 또한, 후각과 청각이 매우 발달해 있으며, 주변 환경의 변화를 빠르게 감지하는 능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골든 햄스터는 갑작스러운 접촉이나 큰 소음에 예민하게 반응할 수 있습니다. 꾸준한 교감을 통해 사람의 손길에 익숙해지면 손 위에서 편하게 머물거나 사육자를 알아보는 모습을 보이기도 합니다.
2. 건강하게 키우기 위한 방법
골든 햄스터는 활동량이 많고 호기심이 강한 동물이므로, 넓은 사육 환경을 제공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최소 80cm × 50cm 이상의 케이지가 필요하며, 사육 공간이 너무 좁으면 스트레스를 받을 수 있습니다. 햄스터는 지능이 높아 탈출 능력이 뛰어나므로, 케이지의 높이와 안전성을 고려해야 합니다.
케이지의 종류
- 철망 케이지 : 통풍이 잘되지만 발이 끼거나 갉을 위험이 있음
- 아크릴 케이지 : 안전하지만 환기 관리가 필요함
- 수조형(테라리움) 케이지 : 청소가 쉽고 햄스터가 탈출할 위험이 낮음
바닥재와 은신처
바닥재는 햄스터가 편안하게 생활할 수 있도록 최소 10cm 이상 깊게 깔아주어야 합니다. 햄스터는 자연에서 땅을 파며 생활하는 습성이 있으므로, 바닥재를 충분히 제공하면 스트레스를 줄이는 데 도움이 됩니다.
- 종이 베딩
- 코코넛 섬유
- 톱밥(무향)
- 목재 펠릿
운동과 장난감
햄스터의 사육 환경에는 은신처, 회전식 쳇바퀴, 터널, 장난감 등이 포함되어야 합니다. 특히, 쳇바퀴는 필수적인 요소로, 골든 햄스터의 크기에 맞는 직경 25cm 이상의 쳇바퀴를 제공해야 합니다. 작은 쳇바퀴를 사용하면 햄스터가 등을 과도하게 구부려야 하므로 척추에 무리가 갈 수 있습니다.
온도와 습도 관리
햄스터는 18~24℃의 온도를 선호하며, 습도는 40~60%가 적절합니다. 너무 덥거나 습한 환경에서는 스트레스를 받을 수 있으며, 겨울철에는 기온이 급격히 떨어지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3. 식단과 건강
주요 먹이
골든 햄스터는 잡식성이므로 햄스터 전용 사료(펠릿)와 신선한 채소, 단백질을 조합하여 균형 잡힌 식단을 제공해야 합니다.
과일은 당분이 많으므로 주 1~2회만 제공해야 하며, 포도, 감귤류, 양파, 마늘, 초콜릿 등의 유해 식품은 절대 급여하면 안 됩니다.
골든 햄스터는 치아가 계속 자라기 때문에 단단한 씹을 거리를 제공해야 합니다. 씹을 거리가 부족하면 이빨이 과도하게 자라 부정교합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는 먹이 섭취에 어려움을 줄 수 있습니다. 따라서 햄스터 전용 치즈 블록이나 씹을 수 있는 나무 장난감을 제공해줍니다.
햄스터를 건강하게 키우려면 정기적으로 행동과 외형을 관찰해야 합니다. 건강한 햄스터는 활발하게 움직이며, 털이 부드럽고 깨끗해야 합니다. 하지만 몸이 쭈글해 보이거나, 털이 빠지거나, 움직임이 둔해지는 경우 질병을 의심해야 합니다.
햄스터는 스트레스에 민감하기 때문에, 너무 잦은 접촉이나 강제로 잡는 것은 피해야 합니다. 주기적으로 우리를 청소해주되, 지나치게 자주 청소하면 자신의 냄새가 사라져 불안해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부분 청소는 3~4일에 한 번, 전체 청소는 2주에 한 번 하도록 합니다.
골든 햄스터는 평균 수명이 2~4년 정도 입니다. 반려동물로 키울 경우, 충분한 공간과 정기적인 관리가 필요하며, 스트레스를 최소화하는 것이 오래 키우는 핵심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