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120

고슴도치 생활 패턴과 독특한 행동, 키울 때 신경쓸 부분 1. 고슴도치의 생활 패턴과 행동고슴도치는 독특한 생활 패턴과 행동 특성을 가진 동물입니다. 주로 밤에 활동하는 야행성 동물로, 하루 약 14시간 잠을 잡니다. 새끼 고슴도치 경우에는 최대 20시간까지 잠을 자기도 합니다. 시력이 좋지 않은 대신 후각과 청각이 매우 발달하여 이를 통해 먹이를 찾고 주변 환경을 탐색합니다. 고슴도치는 다양한 환경에 적응할 수 있는데 주로 관목이 풍부한 서식지, 농경지, 정원, 공원 등을 좋아합니다. 특히 산울타리, 숲 가장자리, 도로변 등을 따라 이동하는 것을 선호합니다. 놀랍게도 고도 2,000미터까지 올라갈 수 있는 등산 능력도 갖추고 있습니다.고슴도치는 약 3,000-5,000개의 가시를 가지고 있으며, 각 가시는 약 25mm 길이로 1년마다 교체됩니다. 위험을 느끼.. 2025. 2. 18.
친칠라 사육 환경 및 케이지 관리, 모래 목욕 1. 친칠라 사육 정보친칠라는 활동적인 동물로 최소 2피트 x 2피트 x 4피트 크기의 충분한 공간이 필요합니다. 특히 친칠라가 자유롭게 뛰어다니며 운동할 수 있도록 바닥 공간이 중요합니다.케이지는 스테인리스 스틸 재질의 철망 타입이 좋습니다.철망 간격은 2.5cm 이하로 설치해야 합니다.케이지 내부는 2-3단으로 플랫폼과 경사로를 설치하여 입체적인 공간을 만들어주어야 하며, 발판 사이는 나선형으로 배치하여 추락 시 충격을 최소화해야 합니다.케이지 내부에 은신처, 운동용 기구, 먹이통, 물병 등을 놓아주어야 합니다.편리한 청소를 위해 서랍식 트레이가 있는 케이지를 선택하는 것이 좋습니다.친칠라 사육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 중 하나가 바로 온도 관리입니다. 10-18°C 사이를 유지해야 하며 25°C 이상에.. 2025. 2. 18.
안시스트루스(안시) 수질 관리, 영양과 번식 1. 안시스트루스(안시) 수질 관리 및 사육 환경수조 환경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것은 크기와 구조입니다. 안시는 바닥이나 벽면에 붙어서 생활하기 때문에 단면적이 넓은 어항이 좋습니다. 최소 30 큐브 이상의 수조에서 키우는 것을 추천합니다. 수조 내부에는 반드시 유목을 설치해야 하는데, 이는 안시의 활동 공간을 늘려줄 뿐만 아니라 피난처 역할을 하고 약산성 수질 유지에도 도움이 됩니다.여과 시스템은 특별히 신경 써야 하는 부분입니다. 안시는 다른 물고기들에 비해 왕성한 식욕과 많은 배설량을 보이기 때문에, 더욱 강력한 여과 시스템이 필요합니다. 외부 여과기를 사용하는 것이 좋으며, 여과재는 생물여과와 물리여과가 모두 충분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해야 합니다.수질 관리는 안시의 건강한 생활을 위해 매우 .. 2025. 2. 17.
네온테트라 물관리 및 환경, 질병과 합사 주의사항 1. 기본 환경 만들어주기여과 시스템은 스펀지 여과기가 가장 적합하며, 물살이 너무 강하지 않도록 조절해야 합니다. 수조 내부는 수초를 많이 심고 유목을 배치하여 그늘과 은신처를 제공해야 하며, 수조 뒤쪽은 어두운 색상의 배경지를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조명은 네온테트라의 발색을 더욱 선명하게 만들어주므로 설치를 추천합니다. 수조 세팅 시에는 바닥재로 검은색 또는 어두운 갈색의 모래를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이는 네온테트라의 자연스러운 행동을 유도하고 스트레스를 줄이는데 도움이 됩니다. 수초는 자바고사리, 아누비아스와 같은 중성 수초를 추천하며, 이는 물고기에게 은신처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수질 안정에도 도움을 줍니다. 깨끗한 물 관리를 위해서는 정기적인 수질 테스트가 필수적입니다. 암모니아와 아질산.. 2025. 2. 17.
아홀로틀(우파루파) 최적의 사육환경과 먹이, 주의점 1. 아홀로틀(우파루파) 특징과 생태아홀로틀은 멕시코 호수에서 서식하는 양서류입니다. 일반적인 양서류는 올챙이에서 개구리로 변태 하지만, 아홀로틀은 유생 상태를 유지하면서도 번식이 가능합니다. 이러한 특성 때문에 ‘변태 하지 않는 개구리’라고도 불리며, 연구자들에게도 많은 관심을 받고 있습니다.아홀로틀은 주로 어두운 환경을 선호하며, 수온이 낮은 호수나 강에서 서식합니다. 피부는 매우 부드러우며, 자연 상태에서는 회색 또는 갈색을 띠지만, 인공 사육된 경우 백색(알비노), 황색(골든 알비노), 검은색(멜라노이드) 등 다양한 색상이 있습니다. 머리 양옆으로 길게 뻗은 붉은 아가미는 아홀로틀의 대표적인 특징 중 하나입니다.물속에서 생활하며 미세한 먹이를 먹으며 살아갑니다. 시력이 좋지 않지만, 수염 같은 감.. 2025. 2. 17.
피그미 다람쥐의 생활패턴과 먹이 습성, 핸들링 1. 피그미 다람쥐의 생활패턴과 행동피그미 다람쥐는 세계에서 가장 작은 다람쥐로 크기가 매우 작고 몸이 가벼워서 나뭇가지 위를 빠르게 이동할 수 있으며, 순간적으로 뛰어오르거나 미끄러지듯 나무 사이를 이동하는 능력이 뛰어납니다. 주로 동남아시아, 아프리카, 남아메리카의 열대 우림에서 서식하며, 나무 위에서 생활하는 완전한 수목성 동물입니다. 열대 지역의 숲에서는 먹이를 쉽게 구할 수 있기 때문에, 대부분의 시간을 나무 위에서 보내며 땅으로 내려오는 일이 거의 없습니다. 피그미 다람쥐의 털 색깔은 대체로 갈색, 회색, 붉은빛을 띠는 황토색이며, 종에 따라 연한 노란빛을 띠는 경우도 있습니다. 덕분에 주변 나무껍질이나 숲 속 환경과 잘 어우러져 포식자로부터 몸을 보호할 수 있습니다. 눈이 크고 둥글며, 시력.. 2025. 2.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