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128

고슴도치 : 생활 패턴/환경 조성/식단 관리 고슴도치는 야행성으로 후각과 청각이 발달했으며, 적정 온도 유지와 균형 잡힌 식단 관리가 건강한 사육의 핵심입니다. 생활 패턴과 환경 조성, 식단 관리에 대해 알려드리겠습니다.1. 고슴도치의 생활 패턴과 행동고슴도치는 독특한 생활 패턴과 행동 특성을 가진 동물입니다. 주로 밤에 활동하는 야행성 동물로, 하루 약 14시간 잠을 잡니다. 새끼 고슴도치 경우에는 최대 20시간까지 잠을 자기도 합니다. 시력이 좋지 않은 대신 후각과 청각이 매우 발달하여 이를 통해 먹이를 찾고 주변 환경을 탐색합니다. 고슴도치는 다양한 환경에 적응할 수 있는데 주로 관목이 풍부한 서식지, 농경지, 정원, 공원 등을 좋아합니다. 특히 산울타리, 숲 가장자리, 도로변 등을 따라 이동하는 것을 선호합니다. 놀랍게도 고도 2,000미터.. 2025. 2. 18.
친칠라 : 사육 정보/영양/모래 목욕 친칠라는 넓고 안전한 사육장, 고품질 건초와 신선한 물, 정기적인 모래 목욕과 위생 관리가 필수인 반려동물입니다. 사육 정보와 영양, 모래 목욕 등에 관해 살펴보겠습니다. 1. 친칠라 사육 정보친칠라는 야행성이며 높은 지능과 호기심을 지닌 설치류로 활발히 움직이고 점프하는 습성이 있기 때문에 입체적이고 안전한 사육 환경이 필수입니다. 사육장의 기본 크기는 최소 2피트 x 2피트 x 4피트 정도가 되어야 하며 이는 단순히 바닥 면적이 아닌 높이 공간을 충분히 확보해줘야 한다는 의미입니다. 친칠라는 자연에서 바위 사이를 오르내리며 생활하기 때문에 사육장 내에도 여러 높이의 플랫폼을 설치해 움직일 수 있도록 해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단 너무 높은 위치에서 떨어질 경우 다치기 쉬우므로 플랫폼 간에는 경사로를 설.. 2025. 2. 18.
안시스트루스(안시) : 수질 관리/영양/번식 안시스트루스는 넓은 수조, 강력한 여과, 식물성 중심 먹이, 신중한 번식 관리가 필요한 열대어입니다. 수질 관리부터 영양, 번식까지 자세히 알려드리겠습니다.1. 안시스트루스(안시) 수질 관리 및 사육 환경수조 환경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것은 크기와 구조입니다. 안시는 바닥이나 벽면에 붙어서 생활하기 때문에 단면적이 넓은 어항이 좋습니다. 최소 30 큐브 이상의 수조에서 키우는 것을 추천합니다. 수조 내부에는 반드시 유목을 설치해야 하는데, 이는 안시의 활동 공간을 늘려줄 뿐만 아니라 피난처 역할을 하고 약산성 수질 유지에도 도움이 됩니다. 여과 시스템은 특별히 신경 써야 하는 부분입니다. 안시는 다른 물고기들에 비해 왕성한 식욕과 많은 배설량을 보이기 때문에, 더욱 강력한 여과 시스템이 필요합니다. 외부.. 2025. 2. 17.
네온테트라 : 수조 환경/먹이/합사 주의사항 네온테트라는 부드러운 수조 환경과 다양한 먹이, 철저한 질병 예방이 중요한 민감한 열대어입니다. 수조 환경 세팅, 먹이 급여법, 합사 주의사항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1. 네온테트라 수조 환경 여과 시스템은 스펀지 여과기가 가장 적합하며, 물살이 너무 강하지 않도록 조절해야 합니다. 수조 내부는 수초를 많이 심고 유목을 배치하여 그늘과 은신처를 제공해야 하며, 수조 뒤쪽은 어두운 색상의 배경지를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조명은 네온테트라의 발색을 더욱 선명하게 만들어주므로 설치를 추천합니다. 수조 세팅 시에는 바닥재로 검은색 또는 어두운 갈색의 모래를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이는 네온테트라의 자연스러운 행동을 유도하고 스트레스를 줄이는데 도움이 됩니다. 수초는 자바고사리, 아누비아스와 같은 중성 수초를 .. 2025. 2. 17.
아홀로틀(우파루파) : 생태/사육 방법/먹이 아홀로틀은 유생 상태로 번식하는 독특한 양서류로 민감한 피부와 낮은 수온 환경을 필요로 합니다. 생태와 사육 방법, 먹이에 대해 알려드리겠습니다.1. 아홀로틀(우파루파) 특징과 생태아홀로틀은 멕시코 호수에서 서식하는 양서류입니다. 일반적인 양서류는 올챙이에서 개구리로 변태 하지만, 아홀로틀은 유생 상태를 유지하면서도 번식이 가능합니다. 이러한 특성 때문에 변태 하지 않는 개구리라고도 불리며, 연구자들에게도 많은 관심을 받고 있습니다. 아홀로틀은 주로 어두운 환경을 선호하며, 수온이 낮은 호수나 강에서 서식합니다. 피부는 매우 부드러우며, 자연 상태에서는 회색 또는 갈색을 띠지만, 인공 사육된 경우 백색(알비노), 황색(골든 알비노), 검은색(멜라노이드) 등 다양한 색상이 있습니다. 머리 양옆으로 길게 뻗.. 2025. 2. 17.
피그미 다람쥐 : 생활패턴/습성/키울 때 주의할 점 피그미 다람쥐는 열대 우림에서 나무 위를 빠르게 이동하며 곤충과 과일을 주로 먹는 민첩한 수목성 동물입니다. 사육 시에는 넓고 자연에 가까운 환경과 조심스러운 핸들링이 필요합니다. 생활패턴과 습성, 키울 때 주의할 점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1. 피그미 다람쥐의 생활패턴과 행동피그미 다람쥐는 세계에서 가장 작은 다람쥐로 크기가 매우 작고 몸이 가벼워서 나뭇가지 위를 빠르게 이동할 수 있으며, 순간적으로 뛰어오르거나 미끄러지듯 나무 사이를 이동하는 능력이 뛰어납니다. 주로 동남아시아, 아프리카, 남아메리카의 열대 우림에서 서식하며, 나무 위에서 생활하는 완전한 수목성 동물입니다. 열대 지역의 숲에서는 먹이를 쉽게 구할 수 있기 때문에, 대부분의 시간을 나무 위에서 보내며 땅으로 내려오는 일이 거의 없습니다... 2025. 2. 16.